본문 바로가기
Trivia Trove/👩🏻‍⚕️ Health

[건강] 기본적으로 받아야 할 건강검진 항목 정리

by 동글저미 2024. 10. 23.
반응형

 

캐나다 가기 전에 꼭 하고 가야할 일이기도 하고,

30대에 진입하면서 한 번 쯤 몸 전체를 점검하기도 해야하는데

회사 다니면서 2년마다 받았던 정기적인 건강검진 외에 뭘 받아야할지 모르겠고

받아야할 검사가 너무 많고 복잡해서 유튜브에서 이원경 의사 선생님이 알려주신 내용을 정리해보았다.

아래 항목들을 보고 본인에게 필요한 것들을 추려서 검사 받으면 됨!

 

 

필수적으로 검사 받아야 하는 것


✔️ 기본검사

피검사와 소변검사는 가장 기본적인 검사로 여기서 이상 소견이 생기면 그때부터 하나하나 열심히 검사해야함
  • 피검사
    • 빈혈 수치, 간 수치(간 기능 검사), 혈당 수치, 고지혈증, 콜레스테롤 수치 확인 가능
  • 소변검사

 

✔️ 나라에서 관리해주는 암 검사

  • 위암
    • 위내시경
    • 30대 부터는 1년에 한 번 씩 추천
  • 대장암
    • 분변잠혈반응검사(종이테스트)가 양성이면 대장내시경검사를 나라에서 무료로 해줌
    • 대장내시경
    • 고위험군 or 가족력이 있다면 3~5년 마다 한 번 씩 꼭 받을 것
  • 간암
    • 복부 초음파로 확인 가능
    • 고위험군은 나라에서 지원해 줌
  • 자궁경부암
  • 유방암
    • 유방촬영
    • 유방촬영_만 40세 부터 지원받을 수 있음
    • 초음파검사
    • 초음파검사_나라에서 지원 안 해줌
  • 폐암
    • 고위험군에 한해서, 그것도 일부 폐암 검진되는 병원에서만 가능

 

✔️ 초음파

초음파 검사는 나라에서 지원을 안 받아도 할 수 있는 가격
  • 복부 초음파
    • 간암, 췌장암, 신장암, 담낭암, 방광암, 전립선암, 자궁암, 난소암 등을 확인할 수 있다
    • 단, 위암과 대장암은 초음파로 발견할 수 없고 내시경으로만 볼 수 있다
  • 유방 초음파
    • 유방암 확인 가능
  • 갑상선 초음파
    • 갑상선암 확인 가능
    • 젊을수록 걸리기 쉬운 병; 20~30대는 꼭 검사할 것

 

✔️ CT 검사

한 번도 검사 받아본 적 없다면 한 번 씩은 꼭 받아볼 것
조영제가 들어가거나 방사선에 노출되는 검사이기 때문에 몇 년 주기로 검사 받으면 됨
간혹 조영제에 알러지 반응이 있는 사람도 있다고 함
  • 저선량 폐 CT(흉부 CT)
    • 고위험군에 한해서만 나라에서 지원을 해줌
    • 3-40대가 되면 한 번 검사를 받고 결과가 괜찮으면 검사 주기를 몇 년 주기로 해도 방사선 양에 무리 없음
  • 조영증강 복부 CT
    • 한 번 쯤 찍어보면 좋고, 작년에 찍었는데 정상이었다면 또 찍을 필요는 없음
    • 조영제가 들어가고 방사선이 있기 때문에 몇 년 주기로 한 번 씩만 찍어도 충분
  • 관상동맥 CT
    • 심장 혈관을 볼 수 있는 CT
    • 협심증(혈관에 문제가 생기면 심장이 일시적으로 마비되는데, 이게 반복되면 심근경색, 심장마비) 볼 수 있음
    • 협심증이 발견되면 '스텐스 치료법'
    • 나이가 있거나 or 심혈관계 질환 or 가족력 or 병력이 있다면 꼭 받을 것
  • 뇌 MRA
    • 엔지오그라피(혈관조영술)로 뇌 속의 혈관에 뇌동맥류(혈관이 풍선처럼 부풀어있는 상태)관찰
    • 뇌동맥류는 뇌출혈로 이어질 수 있다
    • 혈압이 높거나 or 가족력이 있다면 꼭 받을 것

 


검사 안 받아도 되는 것

✔️ 조영증강을 안한 복부 CT

조영제가 들어가야 색깔을 입혀서 보이기 때문에, 조영제가 안들어가면 흑백으로 형태만 봐야해서 자세히 볼 수 없음
방사선에 노출만 되고 내 몸만 버리는 격

✔️ PET-CT

온몸에 암세포가 있나 없나 체크하는 기계
암환자들이 다른 데 암 전이가 되었는지 보려고 평가하기 위한 것임
- 방사선 노출이 강함 (일반 CT검사의 2~3배)
건강한 사람들이 찍을 만한게 아님

✔️ MRI (각종 허리, 사지; 어깨, 무릎 등 MRI)

건강하면 굳이 찍을 필요 없음
- 건강검진에서 찍을 만한 게 아니고, 건강검진으로 찍어 봤자 제대로 설명해 줄 사람도 없음
증상이 있다면 정형외과를 가서 해당부위(무릎 MRI 등)를 찍고 진료 받을 것

✔️ 심장초음파

증상이 없다면 굳이 찍을 필요 없음

 

 

참고 영상

 

 

 

 

Claire

반응형